유엔 인권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엔 인권상은 유엔이 인권 증진에 기여한 개인 및 단체에 수여하는 상이다. 1968년 시작되어, 세계 인권 선언의 기념 주년에 맞춰 시상되었다. 역대 수상자로는 앨버트 루툴리, 엘리너 루즈벨트, 마틴 루터 킹, 넬슨 만델라, 말랄라 유사프자이 등이 있으며, 개인뿐만 아니라 국제적십자위원회, 국제앰네스티, 멕시코 대법원 등 단체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유엔 인권상 | |
---|---|
유엔 인권상 | |
![]() | |
기본 정보 | |
목적 | 인권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개인과 단체를 포상 |
수여 기관 | 국제연합 |
첫 시상 | 1968년 |
마지막 시상 | 2018년 |
시상 주기 | 5년 |
최근 수상자 선정 위원회 | 국제연합 총회 의장, 경제사회이사회 의장, 인권이사회 의장, 인권 고등판무관 |
수상자 수 | 2018년 기준 총 69명 |
역사 | |
제정 | 국제연합 총회 결의 2217A(XXI)호에 따라 제정됨 |
20주년 기념 | 2013년, 유엔 인권 고등 판무관실 20주년과 함께 기념 |
추가 정보 | |
관련 링크 | 유엔 인권상 역대 수상자 목록 |
2. 역대 수상자
유엔 인권상은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인권 증진에 기여한 다양한 개인 및 단체에 수여된다. 다음은 역대 수상자 목록이다.
년도 | 수상자 | 내용 |
---|---|---|
1968년 | 마누엘 비안치(Manuel Bianchi) | 미주인권위원회 위원장 |
르네 카상(René Cassi) | 유엔 인권 위원회 회원 | |
앨버트 루툴리(Chief Albert Luthuli) † | 아프리카 민족회의 의장 | |
메흐랑기즈 마누체흐리안(Mehranguiz Manouchehrian) | 변호사, 법률 고문 및 상원 의원 | |
Петро Омелянович Недбайло|페트르 예멜리아노비치 네드바일로(Petr Emelyanovich Nedbailo)uk | 유엔 인권 위원회 회원 | |
엘리너 루스벨트(Eleanor Roosevelt) † | 유엔 인권 위원회 위원장 | |
1973년 | 타하 후세인(Taha Hussein) † | 문학 교수 |
C. Wilfred Jenks|C. 윌프레드 젠크스(C. Wilfred Jenks)영어 † | 국제노동기구 사무총장 | |
마리아 라발레 우르비나(Maria Lavalle Urbina) | 변호사, 교수 | |
Abel Muzorewa|아벨 무조레와(Bishop Abel Muzorewa)영어 | 아프리카 민족회의 의장, 연합 감리 교회의 주교 | |
Sir Seewoosagur Ramgoolam|시우사구르 람굴람(Sir Seewoosagur Ramgoolam)영어 | 모리셔스의 총리 | |
우 탄트(U Thant) | 국제연합 사무총장 | |
1978년 | بیگم رعنا لياقت على خان|베굼 라아나 리아쿠아트 알리 칸(Begum Ra'Ana Liaquat Ali Khan)ur | |
Prince Sadruddin Aga Khan|사드루딘 아가 칸(Prince Sadruddin Aga Khan)영어 | ||
마틴 루터 킹(Reverend Dr. Martin Luther King) † | ||
Helen Suzman|헬렌 수즈만(Helen Suzman)영어 | ||
국제적십자위원회 | ||
국제앰네스티 | [https://amnesty.or.kr/about/ 국제인권단체] | |
Vicaría de la Solidaridad|비카리아 데 라 솔리다리다드(Vicaria de la Solidaridad)es | ||
Union nationale des femmes de Tunisie|튀니지 여성 동맹(Union nationale des femmes de Tunisie)프랑스어 | ||
1988년 | बाबा आमटे|바바 암테(Baba Amte)mr | 변호사 |
John Peters Humphrey|존 피터스 험프리(John Peters Humphrey)영어 | 유엔 인권국장 | |
Adam Łopatka|아담 로파트카(Prof. Adam Lopatka)pl | 폴란드 대법관 | |
Leonidas Proaño|레오니다스 프로아뇨(Bishop Leonidas Proaño)es | 가톨릭 주교 | |
넬슨 만델라(Nelson Mandela) | ||
위니 만델라(Winnie Mandela) | ||
1993년 | حسيب بن عمار|하십 벤 아마르(Mr. Hassib Ben Ammar )ar | 아랍 인권 연구소장 |
Ερικα-Ιρένε Νταες|에리카-이레네 다에스(Dr. Erica-Irene Daes)el | ||
James P. Grant|제임스 그랜트(James Grant)영어 | 유니세프 | |
국제법률가협회 | ||
사라예보의 중앙 병원의 의료진 | ||
Sonia Picado Sotela|소니아 피카도 소텔라(Dr. Sonia Picado Sotela)es | ||
गणेशमान सिंह|가네시 만 싱(Ganesh Man Singh)ne | 네팔 의회 지도자 | |
수단여성연합 | ||
Julio Tumiri Javier|훌리오 투미리 하비에르(Father Julio Tumiri Javier)es | ||
1998년 | සුනිලා අබේසේකර|수닐라 아베예세케라(Sunila Abeyesekera)si | 스리랑카의 여권신장과 인권-민주화 운동 주도 |
Angelina Acheng Atyam|안젤리나 아켕 아티암(Angelina Acheng Atyam)영어 | 우간다 반군에 납치된 어린이들의 석방운동에 힘써온 간호사 | |
지미 카터(Jimmy Carter) | 인권수호를 위해 헌신 | |
José Gregori|호세 그레고리(Jose Gregori)pt | 지난 40여년간 브라질 인권보호에 앞장서온 브라질 인권 사무국 수반 | |
Anna Šabatová|안나 사바토나(Anna Sabatova)cs | 77 헌장 창립회원으로 체코의 민주화운동에 참여 | |
전세계 모든 인권운동가 | ||
2003년 | Enriqueta Estela Barnes de Carlotto|엔리케타 에스텔라 반스 데 카를로토(Enriqueta Estela Barnes de Carlotto)es | |
덩푸팡(鄧樸方) | 1988년 중국 장애인협회 설립, 장애인 인권 향상 매진[10][11] | |
가족 보호 프로젝트 관리 팀 | ||
Shulamith Koenig|슐라미스 코닉(Shulamith Koenig)영어 | ||
玛诺河|마노 강(Mano River)중국어 | 서아프리카 여성 평화 네트워크 | |
Sérgio Vieira de Mello|세르지우 비에이라 드 멜루(Sérgio Vieira de Mello)pt † | 2003년 8월 19일 바그다드 UN 본부 폭탄 테러로 숨진 전 이라크 특사 | |
2008년 | 루이스 아버(Louise Arbour) | 전 유엔고등판무관 |
베나지르 부토(Benazir Bhutto) † | 파키스탄 전 총리, 암살된 야당 지도자 | |
Ramsey Clark|램지 클라크(Ramsey Clark)영어 | former Attorney General | |
Carolyn Gomes|캐롤린 고메스(Carolyn Gomes)영어 | ||
Denis Mukwege|데니스 무크웨게(Denis Mukwege)프랑스어 | Panzi의 일반 위탁 병원의 공동 설립자 | |
Dorothy Stang|도로시 스탕(Dorothy Stang)영어 † | ||
2013년 | بيرام ولد الداه ولد اعبيدي|비람 다흐 아베이드(Biram Dah Abeid)ar | 노예 제도에 대한 운동가 |
Hiljmnijeta Apuk|힐름니예타 아푸크(Hiljmnijeta Apuk)sq | 불균형 제한 성장을 가진 사람의 권리를위한 인권 운동가 | |
Liisa Kauppinen|리사 카우피넨(Liisa Kauppinen)fi | ||
خديجة الرياضي|카디자 랴디(Khadija Ryadi)ar | ||
멕시코 대법원 | ||
말랄라 유사프자이(Malala Yousafzai) | 파키스탄의 학생운동가 | |
2. 1. 1968년 (세계 인권 선언 20주년)
- 마누엘 비안치(Manuel Bianchi): 미주인권위원회 위원장 (칠레)[2]
- 르네 카생(René Cassin): 유엔 인권 위원회 위원 (프랑스)[2]
- 앨버트 루툴리(Albert Luthuli): 아프리카 민족회의 의장 (남아프리카 공화국) (†)[2]
- 메흐랑기즈 마누체흐리안(Mehranguiz Manoutchehrian): 변호사, 법률 고문 및 상원 의원 (이란)[2]
- 페트르 예멜리아노비치 네드바일로(Petr Emelyanovich Nedbaylo): 유엔 인권 위원회 회원 (우크라이나)[2]
- 엘리너 루스벨트(Eleanor Roosevelt): 유엔 인권 위원회 위원장 (미국) (†)[2]
2. 2. 1973년 (세계 인권 선언 25주년)
1973년은 세계 인권 선언 25주년이 되는 해였다.[2]이름 | 분야 | 국가 |
---|---|---|
타하 후세인 (사후) | 문학 교수 | طه حسين|타하 후세인ar (이집트) |
C. 윌프레드 젠크스 (사후) | 국제노동기구 사무총장 | C. Wilfred Jenks|C. 윌프레드 젠크스영어 (영국) |
마리아 라발레 우르비나 | 변호사, 교수 | María Lavalle Urbina|마리아 라발레 우르비나es (멕시코) |
아벨 무조레와 | 아프리카 민족회의 의장, 연합 감리 교회의 주교 | Abel Muzorewa|아벨 무조레와영어 (짐바브웨) |
시우사구르 람굴람 | 모리셔스 총리 | Sir Seewoosagur Ramgoolam|시우사구르 람굴람영어 (모리셔스) |
우 탄트 | 유엔 사무총장 | ဦးသန့်|우 탄트my (미얀마) |
2. 3. 1978년 (세계 인권 선언 30주년)
- 베굼 라아나 리아쿠아트 알리 칸 (파키스탄): 사회 운동가[2]
- 사돌루딘 아가 칸(이란): 유엔 난민 고등 판무관[2]
- 마틴 루터 킹 (추서) (미국): 미국의 민권 운동가.[2] 더불어민주당은 김대중 전 대통령과 함께 킹 목사의 비폭력 저항 정신을 계승하여 민주주의와 인권 신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헬렌 수즈만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아공의 반 아파르트헤이트 운동가이자 정치인[2]
- 국제 적십자 위원회[2]
- 국제앰네스티[2]
- 연대 사제단 (칠레)[2]
- 투니지 여성 연합 (Union nationale des femmes de Tunisie) (튀니지)[2]
2. 4. 1988년 (세계 인권 선언 40주년)
- 바바 암테(Baba Amte, बाबा आमटेhi): 인권 변호사 (인도)[2]
- 존 피터스 험프리(John Peters Humphrey): 유엔 인권부문 책임자 (캐나다)[2]
- 아담 로파트카(Adam Łopatka): 대법원장 (폴란드)[2]
- 레오니다스 프로아뇨(Leónidas Proaño): 성직자 (에콰도르)[2]
- 넬슨 만델라(Nelson Mandela): 변호사 겸 정치가 (남아프리카)[2]
- 윈니 만델라(Winnie Madikizela-Mandela): 의료 사회복지사 (남아프리카 공화국)[2]
2. 5. 1993년 (세계 인권 선언 45주년)
- حسيب بن عمار|하십 벤 아마르ar (Hassib Ben Ammar|아십 벤 아마르프랑스어), 튀니지 인권 연맹 및 아랍 인권 기구 회장 (튀니지)[2]
- Ερικα-Ιρένε Νταες|에리카-이레네 다에스el (Erica-Irene Daes영어), UN 원주민 인구 문제 연구반 의장 (그리스)[2]
- James P. Grant|제임스 P. 그랜트영어, 유니세프(UNICEF) 사무총장 (미국)[2]
- 국제법률가위원회 (제네바 소재)[2]
- 사라예보 중앙 병원 의료진[2]
- Sonia Picado Sotela|소니아 피카도 소텔라es, 미주 인권 법원 부회장 (코스타리카)[2]
- गणेशमान सिंह|가네시 만 싱ne (Ganesh Man Singh영어), 네팔 최고 지도자[2]
- 수단 여성 연합 (수단)[2]
- Julio Tumiri Javier|훌리오 투미리 하비에르es, 인권 상설 회의 설립자 (볼리비아)[2]
2. 6. 1998년 (세계 인권 선언 50주년)
- 수닐라 아베이세케라(Sunila Abeysekera): 스리랑카의 여권 신장과 인권, 민주화 운동을 주도한 INFORM(Sri Lanka) 사무총장이다.[2]
- 안젤리나 아쳉 아티암(Angelina Acheng Atyam): 우간다 반군에 납치된 어린이들의 석방 운동에 힘쓴 컨서닝드 패런츠 어소시에이션(우간다) 설립자이다.[2]
- 지미 카터: 인권 수호를 위해 헌신한 전 미국 대통령이다.[2]
지미 카터 - 조세 그레고리(José Gregori): 브라질 인권 보호에 앞장선 브라질 여성·가족·인권부 인권사무국 초대 사무총장이다.[2]
- 안나 샤바토바(Anna Šabatová): 체코의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헌장 77 설립자이다.[2]
- 모든 인권 옹호자: 전 세계 수천 명의 용감한 개인들을 포함한다.[2]
2. 7. 2003년 (세계 인권 선언 55주년)
- 엔리케타 에스텔라 바르네스 데 카를로토, 5월 광장의 할머니회 회장 (아르헨티나)[2]
- 마노 강 여성 평화 네트워크 (시에라리온, 라이베리아, 기니)[2]
- 가족 보호 프로젝트 관리팀 (요르단)[2]
- 덩푸팡, 중국장애인연합회 회장 (중화인민공화국)[2]
- Schulamit König|슐라미트 코에니히de, 인권 교육을 위한 국민 운동(People's Movement for Human Rights Education) 상임이사 (미국)[2]
- 세르지우 비에이라 드 멜루 (사후), 이라크에서 살해당한 UN 특별대표 (브라질)[2]
2. 8. 2008년 (세계 인권 선언 60주년)

- 루이스 아르부르(Louise Arbour): 캐나다 출신 전 UN 인권최고대표[5]
- 베나지르 부토(Benazir Bhutto): 2007년 암살당한 파키스탄 전 총리 및 야당 대표 (사후)[5]
- 램지 클라크(Ramsey Clark): 미국 전 법무장관[5]
- 캐롤린 고메스(Carolyn Gomes): 자메이카 정의를 위한 시민단체(Jamaicans for Justice) 박사[5]
- 데니스 무크웨게(Denis Mukwege): 콩고민주공화국 판지 종합병원(Panzi) 공동 설립자[5]
- 도로시 스탕(Dorothy Stang): 브라질에서 활동하다 2005년 살해당한 로마 가톨릭 수녀 (사후)[5]
- 휴먼 라이츠 워치(Human Rights Watch)[5]
2. 9. 2013년 (세계 인권 선언 65주년)
Biram Dah Abeid|비람 다흐 아베이드영어 (모리타니): 노예 해방된 노예의 아들로 노예 제도 폐지를 위해 활동하는 인물이다.[3][6]힐름니예타 아푸크 (코소보): 소인의 권리를 위해 싸우는 운동가이다.[3][6]
리사 카우피넨 (핀란드): 세계농아연맹 명예 회장이다.[3][6]
Khadija Ryadi|카디자 랴디영어 (모로코): 모로코 인권 협회 전 회장이다.[3][6]
멕시코 대법원 (멕시코)[3][6]
말랄라 유사프자이 (파키스탄): 학교에 다녔다는 이유로 탈레반에게 총격을 당한 여학생이다.[3][6]
2. 10. 2018년 (세계 인권 선언 70주년)
- 아스마 자항기르(Asma Jahangir)(사후), 인권 변호사 (파키스탄)[7][8]
- 레베카 규미(Rebeca Gyumi), 여성 및 여아 권리 운동가 (탄자니아)[7][8]
- 조에니아 와픽사나(Joênia Wapixana), 원주민 공동체 권리 운동가 (브라질)[7][8]
- 프런트 라인 디펜더스(Front Line Defenders), 인권 옹호자 보호를 위한 활동 및 옹호 단체 (아일랜드)[7][8]
2. 11. 2023년 (세계 인권 선언 75주년)
- 비아스나 인권센터(Viasna Human Rights Centre) (벨라루스)[9], 1996년 알레스 비알랴츠키(Алесь Бяляцкі)에 의해 설립된 인권 단체이다.
- 줄리엔 루생(Julienne Lusenge) (콩고민주공화국)[9]
- 암만 인권 연구 센터(Amman Center for Human Rights Studies) (요르단)[9]
- 훌리오 페레이라 산체스(Julio Pereira Sánchez) (우루과이)[9]
- 깨끗하고 건강하며 지속 가능한 환경에 대한 권리의 보편적 인정을 위한 시민 사회 단체, 원주민, 사회 운동 및 지역 사회의 글로벌 연합(Global Coalition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s, Indigenous Peoples, Social Movements, and Local Communities for the Universal Recognition of the Right to a Clean, Healthy, and Sustainable Environment)[9]
참조
[1]
웹사이트
Resolutions adopted on the reports of the Third Committee
http://www.ohchr.org[...]
[2]
웹사이트
The United Nations Prize in the Field of Human Rights List of previous recipients
https://www.ohchr.or[...]
2024-08-19
[3]
웹사이트
2013 United Nations Human Rights Prize
https://www.ohchr.or[...]
2013-12-09
[4]
웹사이트
20th ANNIVERSARY
https://at20.ohchr.o[...]
2013
[5]
웹사이트
United Nations Human Rights Prize 2008
https://www.ohchr.or[...]
2008
[6]
뉴스
Pakistani activist Malala Yousafzai among winners of 2013 UN human rights prize
https://news.un.org/[...]
2013-12-05
[7]
웹사이트
2018 United Nations Prize in the Field of Human Rights
https://www.ohchr.or[...]
2018
[8]
뉴스
UN names Human Rights Prize winners for 2018
https://www.aljazeer[...]
2018-10-26
[9]
웹사이트
2023 recipients, UN Human Rights Prize
https://www.ohchr.or[...]
2023-12-10
[10]
뉴스
덩샤오핑 장남 유엔인권상
http://news.naver.co[...]
[11]
뉴스
샤오핑 아들 덩푸팡 880만명 재활훈련등 공로 유엔 장애인인권상 받아
http://news.naver.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